-
AWS - 주요 서비스 정리 : ec2, s3, Lightsale, LambdaOS, 클라우드 컴퓨팅 2019. 12. 2. 01:27
Intro
AWS(아마존 웹 서비스)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솔루션으로
그 안에 세부적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몇년전 AWS 서버 장애 발생시 대부분의 게임과 앱서버가 중지되서 접속조차 안됐었다;;.. (배민, 쿠팡 등등)
우리나라에서도 그 만큼 대중적인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프로젝트의 환경 or 일부 기능의 목적에 맞게 여러 서비스들을 사용해 볼 수 있는데
이번 글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대중적인 서비스들의 정의와,
실제 사용예시 등이 기재된 자세한 참고자료 링크를 정리 하려고 한다.
자세한 개념 설명은 생활코딩 강좌를 참고하길 추천!
https://opentutorials.org/course/2717/11268
아마존 웹서비스와 클라우드 - 생활코딩
클라우드가 무엇인지, 또 아마존 웹서비스는 무엇인지에 대한 소개를 하는 수업입니다.
opentutorials.org
1. AWS가 인기있는 이유
서비스별 소개를 하기에 앞서아마존 외에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왜 다들 AWS를 많이 사용하지 나름대로 이유를 정리해봤다.
1) 방대한 자료
MS나 구글의 서비스에 비해 유튜브, 블로그, 아마존 공식 문서 등 자료가 압도적으로 많다.
아무래도 먼저 서비스하고 대중화된 영향이 가장 큰 듯하다.
2) 공식 한글화 지원
다른 경쟁사들도 한글화를 지원하긴 하지만 AWS 대부분의 가이드 문서와 홈페이지의 메뉴명까지
거의 모든게 한글화가 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다.
3) 배우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가격
기업에서 서비스하는 기준으로, 경쟁 업체 대비 저렴한 건 아닌 것 같지만
인스턴스 하나만 생성해서 조그만 서비스나 블로그를 개발/공부할 용도라면
크게 신경쓸 것 없이 1년 간은 대부분의 기능들이 사실상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2. 주요 서비스와 참고할 만한 자료
aws 서비스 목록 AWS에는 정말 많은 서비스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고, 참고 자료(블로그, 서적 등)가 많은 것은
ec2 >>>>> S3 >> Lightsail >> Lambda 의 순서이다.
(개인적으로 몇달간 공부하고 자료를 찾아가면서 느낀 기준)
각 서비스들이 대략적으로 어떤 목적으로 활용되고, 참고할만한 자료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1) ec2
인스턴스를 만든다고도 하며, 하나의 가상 컴퓨터를 만드는것과 동일한 개념이다.
윈도우, 리눅스 등 OS선택해서 만들 수도 있으며, PC의 사양별로 요금이 달라진다.
1년 무료 티어에서는 매우 낮은 성능의 인스턴스만 생성 가능하지만, 혼자 공부하면서 개발하기에는 충분하다.
보통 리눅스OS로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서버 + DB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추가 참고 자료 : 생활코딩 강의 - 좀 오래된 자료지만 현재도 대부분 유효하고, 요금제까지 자세하게 짚어 줌
https://opentutorials.org/course/2717/11274
EC2 소개 - 생활코딩
EC2 소개 2015-12-28 17:55:44
opentutorials.org
2) S3 (Simple Storage Service)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클라우드 데이터 저장소와 유사한 개념
주로 용량이 큰 포맷의 파일들을 저장하는 별도의 창고용도로 사용된다.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등)
인터넷 게시판과 같은 대중적인 서비스를 기준으로 아래 조합이 가장 대중적인 것 같다.
- ec2 : 서버+DB 구축
- S3 : 이미지, 동영상 파일 저장
추가 참고 자료 : python+Django+S3 조합으로 파일 서버 만들어보기
https://newbiecs.tistory.com/183
Django - Dstagram part4-아마존 S3 연동하기(이미지 서버)
이미지 서버는 웹 서버 인프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폭발적인 사용자 증가를 감당하려면 필히 웹 서버의 댓수를 늘려야 하는데 이럴 경우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동기화하는데 큰 노력이 필요합니다...
newbiecs.tistory.com
3) Lightsail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없는 정적인 웹사이트를 서비스 하기에 최적화된 서비스로
워드프레스와 같은 웹개발 플랫폼이 미리 탑재된 상태의 미니 인스턴스를 빠르게 생성해준다.
ec2에서는 신경써야할 세세한 설정들을 대부분 덜어내고 빠르게 기능에만 집중할 수 있다.
다만 처음 한 달만 무료이고, 이후에는 매월 3.5$ ~ 그 이상의 요금제를 지불해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개인 블로그나 포트폴리오 사이트에 많이 사용하고 있고, 자료도 많이 있다.
추가 참고 자료 : 워드프레스 셋팅 ~ 블로그 구축 가이드
- 최근 알게된 곳인데 워드프레스를 중심으로 많은 자료가 있다, 아직 필요성은 못 느껴서 실습은 안해봤지만 설명이 상세하다.
https://swiftcoding.org/series/wp-startup
워드프레스 시작하기(설치,세팅) 시리즈 Archives | 스위프트코딩
서버를 마련하고 워드프레스(Wordpress) 블로그를 시작, 초기세팅에 대한 글 모음
swiftcoding.org
4) Lambda
실제로는 아래와 같은 용도로 자주 사용하는 것 같다.
- 크롤링을 통해 특정 시간 단위로 자료 수집
- 특정 시간에 필요한 소스코드 파일 실행하는 용도
추가 참고 자료 : 크롤링봇 만들기 - python을 이용한 lambda 한글 자료는 많지않은데 영상으로 되어 있어 익히기 좋음
https://www.youtube.com/watch?v=GNoZLjnwSP4&t=372s
'OS,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기초 사용법, 참고 자료 정리 (0) 2019.12.01